꿈하나 – 세컨드 라이프를 돕는 기업

한국에 와서 새롭게 힘과 에너지를 내보고 다시 조금씩 꿈꿔보고 있다. 그런 이런저런 생각들 가운데 하나, 세컨드 라이프를 돕는 기업에 대한 아이디어를 소개한다. 이 공간을 통해 이 마음과 생각이 또 어딘가에 닿아서 눈덩이가 불듯이 더 살이 생기고 동력이 생기길 소망한다.

미션 (Mission)

각 개인이 고유의 빛과 목적을 찾도록 돕는다 (첫째 – 나에 대해 더 잘 알고, 둘째 – 그것을 바탕으로 사회를 보고, 셋째 – 개인만의 미션을 만들고 자신의 쓸모와 목적, 목표를 발견하는 것을 돕는다.) 

문제와 기회(Problem and Opportunity)

시대와 환경의 변화

백년 평균수명시대: 오랫동안 일할 수 있는 건강과 능력, 그리고 필요가 생김

빠른 시대변화: 평생직장의 개념이 사라지고 한 조직에서 습득된 역량이 평생의 쓸모를 만들어주지 못함 

기존 시스템의 한계 

기존의 교육 시스템 (정규교육, 직무교육)은 사회의 변화에 맞게 개개인의 역량을 연마하고 재정비할 수 있는 역량과 접근법을 배양시키지 못함

획일화된 사회풍토와 위험을 극도로 꺼리고 터부시하는 문화는 안정과 인정에 대한 집착으로 이어지고, 도전과 탐색의 진입장벽을 높임

현상

준비없는 은퇴후 급격히 사회와 단절되고 개인은 고립감과 우울 또는 낮은 효능감을 체험

자산증식에 대한 사회적 집착: 건물주가 청소년 꿈이되고, 자산증식가가 칭송받는 사회 

커리어/일에 대한 냉소주의: 은퇴가 목적이 되고 (파이어족) 일은 수단이 됨 

기회

계속 일하고 싶어하는 40-50대 white collar worker, 은퇴준비자의 수요가 계속 증가하고 있음

자기개발서와 같은 정형화된 성공방정식에 대한 피로가 증가하고, 부동산/주식 열풍도 거시경제변화와 함께 소강상태 

한국인이 가진 변화에대한 빠른 적응력과 에너지  

전제

1. 모두에겐 고유의 창조성과 창조/생산에 대한 타고난 욕구와 필요가 존재함 (Everyone has innate creativity and desire to create something) 

2. 우리모두는 다른사람에게 무언가를 공급하고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의미를 찾음 (Everyone finds meaning of life through providing something for other people )

3. 1, 2 번의 필요가 만족될 때 (고유의 창조성을 통해 무언가를 만들어 타인에게 제공) 개인의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고 삶이 더 풍성해짐 (Once 1) & 2) are fulfilled, people’s lives can thrive/flourish, and one can experience greater satisfaction in life) 

제공하는 가치(Value provided)

Intrinsic

자기이해: 자신의 삶과 커리어를 돌아보고 스스로에 대한 이해를 높임 

기대감: 새로운 목적/방향성에 대한 기대감. 대학교 신입생이 되었을때와 같은 설렘을 제공 

성취감/효능감: 타인에게 긍정적인 영향력을 끼칠수 있도록 돕고 그를 통해 자기효능감/성취감을 제공 

소속감: 프로그램에서 커뮤니티 형성을 도와 소속감을 고취시킴  

Extrinsic 

사회적 지위: 사회의 구성원으로생산활동을 영위하는데서 오는 지위(명함)를 계속하도록 도움  

소득: 꾸준한 소득을 가질수 있도록 도움   

타겟 고객

40/50대 working professional (공무원, 대기업 종사자, 전문직 등 white collar worker)    

타겟 고객 Deep Dive 

    – 새로운 역량을 발견하고 개발할만한 역동성과 에너지, 역량을 갖추고 있음

    – 자기개발과 세컨 커리어 준비에 돈과 시간을 투자할 자원과 니즈를 가짐 

    – Prosumer: Insight/경험을 소비하는 consumer이자 제공할수 있는 provider임

제공 서비스

기본원칙

개개인이 자신의 길을 발견하고 개척할수 있도록 돕는 서비스를 제공. 

What we are not: 특정 직무 훈련코스 (예: 코딩스쿨, 부동산 투자교육)나 헤드헌팅 서비스 

Step 1. 파트타임 프로그램 (Part-time program)

: 코호트 제로 운영되어 커뮤니티를 형성함. In person을 기본으로 하되 온라인을 필요시 겸비. 스탠포드 경영대의 Interpersonal dynamics, Career life vision, 코칭 프로그램등을 접목하여 한국현실에 맞게 프로그램과 강사진/퍼실리테이터 구성 

1단계: 나의 발견

2단계: 사회의 발견

3단계: Action plan 만들기 

Step 2. Connect + Community

: Step1을 마친 사람을 대상으로 하여, 기존 코호트 졸업생 및 현업의 선배/멘토들과 연결. Action plan의 구체화를 도움. 고객군이 prosumer인 만큼, 단순 소비자/공급자의 관계가 아닌, 고객 고객간 P2P 방식으로 value 교환이 가능함. 이를 가능케 하는 커뮤니티를 제공. 

Step 3. Internship/Fellowship/Consulting model 

: 단기/중기 인턴십, 온라인 자문 및 강의활동, 기타 자문기회, 재취업 또는 창업을 도움 

성공사례 (예시)

1. 40대 초반의 언론인. 창작가 (작가/연출자)로서의 고유의 속성과 재능을 프로그램을 통해 발견하고, 첫 작품을 써서 작은 출간을 경험함. 당장 현 직장을 그만두지는 않지만 창작가로서의 활동을 계속 이어나가고 활동 비중을 높여 나가기로 결심함

2. 40대 초반의 공무원. 프로그램을 통해 사기업에서 자문, 대관업무 뿐 아니라, 기획자로서 일할수 있는 자신감과 가능성을 발견하고 직장을 휴직하고 사기업에서 업무를 시작. 1년동안 업무해본 이후 향후 계획을 재정비할 계획 

3. 40대 초반의 변호사. 프로그램을 통해 자신의 법조계 전문성을 살려 여성들에게 법률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창업을 하기로 결심하고 창업을 하게됨. 로펌생활에 비해 소득은 훨씬 줄었지만 개인의 만족도와 효능감은 비교할수 없을만큼 높아짐 

About sanbaek

늦깍이 크리스천 (follower of Jesus), 우렁각시 민경이 남편, 하루하율하임이 아빠, 둘째 아들, 새누리교회 성도, 한국에서 30년 살고 지금은 실리콘밸리 거주중, 스타트업 업계 종사중. 좋아하는 것 - 부부싸움한것 나누기, 하루하율이민경이랑 놀기, 일벌리기 (바람잡기), 독서, 글쓰기, 운동, 여행 예배/기도/찬양, 그리고 가끔씩 춤추기. 만트라 - When I am weak, then I am strong. Give the world the best I've got.

2 comments

  1. 배현규

    안녕하세요! 백산님!
    저는 40대는 아니지만, 직장생활을 오래하다가 갑작스레 회사를 나와야 될 때 막막함은 이루말할 수 없을 것 같습니다.
    그런 사회 문제를 business관점에서 해결해보려고 하시는 접근이 fresh합니다. 그동안 관련된 컨설팅, 상담 업체들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으나 고객과 고객 간의 p2p방식은 새로운 접근인 것 같습니다.
    단순한 지식 전달을 넘어 community 형성, internship까지 진행하는 모델은 고객 입장에서 전문화된 성장을 할 수 있겠네요.
    다만, business 관점에서 community, internship의 quality를 보장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는 고민을 해볼 필요가 있겠네요! 저도 아이디어를 좀 더 고민해보겠습니다.

  2. love

    안녕하세요 백산님, 세컨드 라이프에 대해 깊이 공감합니다. 우리나라는 10,20대가 가진 청춘의 목표와 꿈에 대해서는 대학과 취업 등으로 에너지를 태울 수 있게 만드는데는 시장과 가정이 하나가 되어 성공시켰지만서도… 현재 재직자들, 은퇴를 바라보는 중견 직장인, 더나아가 은퇴하신 분들은 목표라는 것을 상실하고 굴러가는데로 살아가는 게 대부분입니다.

    앞으로 우리 사회에는 이런 영혼들이 점점 쌓여만 갈 것 같은데요. 이들이 서로를 임파워링하고 influenced하면서 100세 시대까지 달릴 수 있는 세컨라이프를 만들어야 하는 것이 사회가 당면한 문제 같아 보입니다. 10,20대는 인생에서 일부분인데 이 때만 잠깐 목표니, 장래희망이란 걸 가져보고 그 이후로는 아예 상실한 채 살아가는 삶은 분명 우리가 지어진 목적과는 맞지 않는 것 같이 느껴집니다.

Leave a Reply

Fill in your details below or click an icon to log in: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

%d bloggers like this: